Wednesday, December 14, 2011

12월 KOPA 특강_작문지도

Dec. 13th, Tuesday
Special Lecture

KOPA 특강 <4>
'내 아이 작문지도 어떻게 할까?
(참고: 제대로 의미 전달이 되도록 강의 중에 사용된 영어표현을 그대로 옮기겠습니다.^_^)

강사: Nancy Kim
(전 미국 공립 고등학교 교사, Creekside Enrichment 원장 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http://creekside-enrichment.com/)

Writing 의 세가지 요소

    1. Content
    1. Organization
    2. Expression


  1. Content 에 따라 두가지로 구별: Creative Writing/ Analytical Writing
Creative Writing: Talent 요구, Develop 가능

Analytical Writing:

9th grade부터 하기 시작, 학교/교사 마다 다르지만, 10th grade부터 본격적으로 많이 요구
전체 점수가 괜찮아도 어떤 category에서 점수를 잃는지 봐야 함.

어떻게 해야 점수가 잘 나오나?

Reading + 사고력 (Critical Thinking :이해하기 위해서 자꾸 의문을 제기하는 것)

Essay는 논술- 자신의 견해가 있어야 한다.
구체적인 세부사항(Concrete detail)을 뽑아 분석해야
...이를 위해서는 reading이 잘돼야 한다.

Reading에도 level이 있다. → background 이해/ theme 이해 / language 이해

현재 6,7,8,9 학년 아이들은 fantasy generation → plot 독해, plotlayer가 많아 정독이 되지 않는다. 사고하면서 읽는게 아니라 entertaining → 다독을 하지만, 대충읽는다는게 단점 (Reading disfunction)

사고력(Critical Thinking)을 키우는 방법:

full sentence를 말하도록 한다.”
집에서 말시킬때, 앞뒤 맞춰서 이야기하도록 한다.
Writing에 도움이 되고, 사고정리가 된다.



SAT Writing 준비


reading level이 잘되어 있으면 점 수 잘 나온다.
depthbreadth를 넓혀야


부모가 할 수 있는 건 breadth를 넓혀주는 것
다양한 책을 접하도록 (다양하게 상식을 넓히도록 해야 reading도 잘 된다.)
Newbery medal book list 1919~1960년에 상받은 classic을 골라준다.
(language -> more sophisticated)
시청각 교육, 보고 듣는 교육의 장소를 찾아다닌다.(박물관, 미술관 등)
History channel이나 Discovery channel 프로그램을 보여준다.
상식 범위를 넓혀준다.


2. Organization

배울 수 있다. ^^


3. Expression
: 어떤 단어를 쓰나? // 어떻게 배치하나?
적절한 단어를 쓰고, 말하는게 아닌 보여주는 표현을 쓰도록
specific한 단어 쓰도록

* 결론...

1) 작문을 잘하기 위해서 reading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

2) 사고력을 키워주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게 중요

3) 상식범위를 넓혀주는게 중요하다
      ...이를 위해 다양한 시청각 교육의 기회 제공해 주기!
      -> 이를 위해 부모들의 창의적인 사고력과 마음이 필요하다.

Monday, November 14, 2011

11월 8일 모임, Parenting 특강

KOPA 특강 <3>
"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할 것"

강사: Tina Baik (티나 백) 선생님
(Life Line Training 강사, Life Skills International 그룹 상담자,San Jose Home 및 교회 등지에서 parenting 강사,Counseling으로 박사과정 수료)


부모로서 아이에게 주는 것: 사랑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Freedom->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믿음

사람들을 판단할때 '건강함(Healthy)''비건강함(unhealthy)'으로 나눌 수 있다.
"자기를 잘 아는 것":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깨달아야 → healthy
(자기비하, 혹은 지나친 과시가 모두 문제)

 사랑...

건강한 어머니에게서 건강한 아이들이 나온다.
건강한 어머니의 태도는? “The only person I can control is myself.”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-> I can't control my kids.
내가 아이들의 주인이 아니다”
        ---> 아이들을 자기자신을 사랑하고 남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만드는 것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줄을 끊어야 한다. 자기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못끊는다.

우리는 사랑받기(사랑을 주기) 위해 태어난 사람”
---> 사랑을 못받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건: 다른 사람에게서 받은 수치심은 버리면 된다.

*아기들: 부모의 feeling을 느낀다. 기저귀갈때 등등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→ 사랑을 못받으면 자꾸 사랑을 받으려 한다.
  부모로서 사랑을 주기 위해서는 사랑을 받을 수 있는 source가 있어야 한다.
  사랑을 못받으면 자꾸 아이에게서 사랑을 받으려고 한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>아이는 더 unhealthy한 아이가 될 수 있다.

그래서...가족이 건강하려면 1)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고, 받아들여져야 된다.


Freedom...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  

감정을 이야기할 수 있는 자유가 있어야 한다.(freedom to express my feeling)

안전한 환경 만들어 주기, 질문에 답해주기, 어려서부터 자기의 느낌 알도록 해준다.
자기 발표를 할 수 있어야 → 그렇지 못하게 되면, 자기 자신에게도 화가 나고, peer group에 끌려다니고, 배우자를 선택할 때도 끌려간다.->(개선책) 엄마가 하라는 대로 하지 않도록---> 어려서부터 자율성을 키워줘야 -->선택을 할 수 있도록 몇가지를 준다.
Ex) “~해” 가 아닌 “~게 할까,~할까” 주도권을 아이가 가진 느낌을 가지도록!

아이들의 행동 고쳐주려면?
칭찬을 2~3가지 먼저 해준다. 그리고, 교정할 때 선택의 자유를 준다.
Ex) 우유를 먹도록 하려할 때: '우유 먹어라'가 아닌 컵을 여러가지 색깔 컵을 준비해서 흥미를 갖고 먹도록: 고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

Q) 자기가 원하는 것을 잘 모르는 아이, 결정을 잘 못하는 아이는 어떻게 지도해 주어야 하나?
fact를 함께 이야기하다보면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하게 된다.
-> 감정을 표현하면 -> 무조건 공감해 준다. 아이를 판단하면 안된다. 무슨 말을 해도 받아준다. 정상적으로 생각해 줌. 이겨나갈 힘이 있고, 이겨나간다고 이야기해야

엄마의 평정이 항상 중요: 잘못해도 괜찮다! 너를 믿는다.
 

믿음 ...아이들을 믿어주어야 한다.

믿음을 표현하는 방법은...”
의사소통(communication)은 단지 말로만 되는 것이 아님.
Body language: 50%/ 7%/ 태도 38% => 환영받는다는 느낌이 들도록

수치심을 주지 않도록!=> emotionally bonding(연결)을 만들어야=>'너는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' 는 것을 심어주도록

Self-Esteem': 믿음으로 준다=>너는 걸작품이다”, “너는 특별한 아이다”라고 자주 이야기해 준다.
 
*유태인의 경우, 1년동안 남편 일을 시키지 않는다고 한다.
좋은 자녀 만들기 위해, 아버지가 될 준비하도록
방법은 부인에 대해 공부를 시킨다.

사춘기 → 반항 (나쁜 것 아니다) → “경계를 잘 잡아줘야”
경계 잡아줄때”: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계속 느끼도록 한다.
자신감을 가지도록, 사실을 이야기해 준다.

*매일 밤 processing(적어도 5) 하는 시간 갖는다!
 -> 속마음을 서로 이야기하는 시간=> 이 시간을 통해 속상한 것 나누고, 들어주고 잡아주는 시간이 되도록/ 기쁜 것이 있으면 함께 기뻐하는 시간==> 우리집은 휴식처, 안식처라는 느낌 받도록
갈등이 와도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방법을 배우는 곳이 바로 집이요, 가족

Behind every great woman, there is a great mom.”
: 물고기를 잡아주는 것이 아닌 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기


항상 지켜야 할 것:
Tell the truth with Love”
항상 truth(진실,사실대로 이야기하기)healing(치유)의 효과가 있다.
엄마를 믿을 수 있다. :아이와의 관계에서 Don't give up! 감정표현한다.


Self-Esteem이 잘 되어있는 아이 만들도록: boundary를 잘 잡아주기, 사랑을 주면서 격려하도록, motivation 주기 (칭찬 먼저!)




Thursday, October 20, 2011

10월 18일 모임, 선배 어머님과의 대화

1018일, 화요일 모임 “선배 어머님과의 대화”
 Guest Speaker: 한종은님 (남매를 버클리대에, 장녀는 현재 하버드 법대 대학원)

1) 대학에 가기 위해 필요한 것 네가지
  1. GPA: 10,11,12 학년
  2. SAT
  3. Honor, AP class 많이 듣기: 전체적으로 수업을 많이 들음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성실성을 나타내는 척도)
  4. Activity : 9학년때는 5~6-> 10,11학년 대표적인 것 2개 정도로 줄임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학교 클럽은 그 안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 contribution 정도가 중요  (*activity는 대학입학 에세이 내용의 바탕이 되기에 아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고르도록)

2) 공부는 어떻게?

   모르는 숙제: Homework Center 이용, 질문 해결
   필요하면 tutoring을 받는 것을 고려해도 좋다고 생각
    9학년 여름방학때 SAT 책 공부하기 시작

3) 9학년 여름방학때부터 SAT 공부 시작,10학년 봄학기부터 시험보기 시작

4) 대학갈 때 추천서가 중요:
학교에 따라 다르지만, 보통 각 학교의 academic teacher의 추천서 2, 외부 인사 추천 서 1

5) 인턴쉽: 'Vision New America' 에서 알아 봄.

6) 한국말로 매일 일기쓰기를 한게 영어작문에도 도움이 됐다.

7) 7~8학년때는
 
   기초공부, 혼자 공부하기 좋은 책을 골라 스스로 공부하도록
   책을 많이 읽는 것 중요 (college board 100선, library 추천도서 위주로)
   커뮤니티 서비스, 스포츠 캠프 등 다양한 경험하도록!

Monday, October 17, 2011

태민,태호 어머님과의 대화(2011년 10월 17일)

1018일 모임:”선배 어머님과의 대화”를 위한
10/17 사전모임-태민(예일),태호(스탠포드) 어머님과의 대화

(태민,태호는 Homestead High를 졸업한 형제입니다. 18일 정기모임에 나오시지 못하시는 관계로 미리 뵙고 여쭤보았습니다 ^^)

*질문사항과 그 답*
  1. 아이의 중학교/고등학교 시절 부모로서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이 있다면?
-들어주기 :아이들의 생활 아는 것, 그래서 아이를 잘 파악하는 것, 특성 아는 것
(아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, 아이의 친구관계,선생님 이야기 등을 들어준다.)

-아이의 의견을 존중,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하도록 했고, , 무엇이든 스스로
하도록 했다.(독립심 중요)
-인성교육: 인사하기
가족들이 저녁은 항상 함께 먹도록 노력했다.
-엄마의 욕심은 버려라! (엄마가 나서면 안된다고 생각한다.)
-mento가 될 선배, 좋은 선생님을 만나도록: 선생님과 관계 잘 맺도록 조언
-좋은 친구사귀는 것이 중요 :서로의 생활에 깊은 영향 준다.
-책 많이 읽도록
-누구나 능력은 다 있다. 찾아주고 키워주는게 중요.
(칭찬하고, 격려해 주는게 중요-> 능력 밖이면 포기시킴)

  1.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어떻게 풀어주면 좋은가?
-음악을 시켰던게 도움이 많이 됐다. 사춘기에 심리적인 안정을 가질 수 있었
, 특히 클래식 음악(바이올린/첼로)이 보수적이어서 그런대로 사춘기를 잘
보낼 수 있었던 것 같다.

  1. 방학을 어떻게 보냈나?
-집에서/ 여행하면서
-8학년까지는 많은 경험을 하도록 하는게 중요
-9학년부터 좋아하는 것에 집중

  1. 지나고 보니 후회되는 점/아쉬운 점이 있으시다면?
-글쎄, 후회되거나 아쉬운 점은 없다.
, 아이가 다 알아서 하기에 학교 일에 무관심했고, 잘 가지않았던 점.
너무 어른 취급해서 혼자서 다 알아서 하도록 했는데, 혼자서 많이 힘들지 않았
을까 하는 생각은 든다.

  1. Homestead High의 강점은?
-어느 학교든 적응하기 나름
-socializing이 중요(mean한 선생님도 handle해야!)

  1. 참고할 사항: Activity / Volunteer Work
    -음악, 수영,검도 /학교에서 volunteer work (leadership/Que club)
        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 하도록 (남들과 상관없다.)


Thursday, September 22, 2011

9월 20일 모임

KOPA 2011~2012  ⊙ 첫번째 모임 (Sunnyvale, Panera)

  1. 참석자 소개
-신입회원 소개/ 기존회원 소개

  1.  1년 활동 정하기

        *10월 /11월 / 1월 / 2월 / 3월 / 4월 / 5월 정기모임 (총 7회)

             *아이들이 함께 참여하는 모임
        -10월 31일, 월요일의 할로윈 파티 11:00AM, 쿠퍼티노 미들 옆 공원 
    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자전거 주차 공간 옆에 있는 작은 놀이터와 그 옆의 벤치)      
        -4월의 가족 피크닉
        -5월의 CMS 선생님들 대상 Korean Luncheon    
-매달 모임 : 매달 둘째 화요일 10:00 AM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단, 다음달, 10월에는 셋째주인10월 18일
              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매달 모임 내용은 1) 특강 한시간~한시간 30분,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     2) 주제별로 회원들간 경험,정보 나누기

-특강 내용 검토
 
① 선배학부모의 특강: 내아이 대학 보내는데 가장 중요했던 것
 
성교육 강사로부터 듣는 '미국학교에서 자라는 우리 아이 성교육 과연어떻게 해야 하나?

부모 교육 전문가로부터 듣는 '미국에서 좋은 부모되기: 문화차이 어떻게 극복하면 좋은가?'

Writing 전문강사에게 듣는 '아이들의 작문교육 어떻게 도와줄까? (엄마들의 writing ?)'

미국학교 커리큘럼에서 쏙 빠진 한국역사와 문화,어떻게 아이들에게 전할까?